나도 나를 잘 모를 때가 있다.
내가 알고 있는 것도 다른 사람은 잘 모른다고 생각하여, 그것을 부정하고 자기 마음에 꽁꽁 숨겨 놓은 것도 있다.
그래서 다른 사람에 의해 내 약점이 지적당하고 들춰지면 꽤 당황하게 된다.
이럴 때 사람들은 대개 두 가지 반응을 보인다.
하나는 먼저 부인부터 하고본다.
“사람 잘못 봤다. 내가 언제 그랬냐?”
진짜 오해해서 잘못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때마다 부정만 하면 진짜 자기 모습을 보지 못할 수 있다.
남들은 다 아는데 정작 자기만 모른채 문제가 지속될 수 있다.
또 다른 반응은 지적을 받고 수치를 느낀 후에 상대방에게 복수를 다짐한다.
"그러는 너는 얼마나 잘났냐? 너도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다. 두고봐라"
우리가 다 약한 존재여서 사실 지적하는 사람도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대개 자기 눈에는 잘 안보여서 그런 것이지 다른 사람 눈에는 잘 보인다고 생각해야 한다.
그래서 이런 지적에 대해서 복수하려는 마음을 가지면 언제나 자기 문제를 똑바로 보지 못한다.
오랜 세월이 지나도, 남들은 다 알지만 정작 자신은 모르는 그 문제가 변하지 않고 여전히 남아 있다. 그래서 성장도 못하고 변화도 없다.
교회에서는 교역자나 장로, 목자들도 여러 사람에게 노출된 삶을 살고 있기에 때때로 지적당하고 평가받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이런 평가를 잘 소화하지 못하고 불편한 마음을 가지기 쉽다.
세월이 흘러가면서 한계와 약함은 자꾸 드러나는데도 마음은 옹졸해지고 여유가 없어진다.
자기 문제를 인정하는 것은 항상 힘들고 아프다.
그렇지만 교회는 문제를 발견하고 아픔을 느끼고 치유하는 곳이다.
말씀 앞에서 나의 추한 모습을 발견하고 옷깃을 여미고 추스르면서 기도하는 자가 성도이다.
누가 지적하면 부정부터 하지 않고, 그 속에 나를 새롭게 할 수 있는 부분은 없는지 자기 자신과 대면 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기면 좋겠다.
자기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때 비로소 치유가 되고 자신과 화해할 수도 있다.
자신에 대한 비판에 여유로워지고, 상대에 대한 나의 비판도 관대해졌으면 좋겠습니다.
우리의 한계를 발견할 때마다 주의 능력을 의지하고 도움을 간구해야 하겠다.
2017년 2월 19일 칼럼